진료시간안내

  • 평일 오전 09:00 ~ 오후 06:30
  • 토요일 오전 09:00 ~ 오후 01:30
  • 점심(평일) 오후 1:00 ~ 2 :00

일요일/공휴일 휴진입니다.
*토요일 점심시간 없이 진료합니다.

02-792-6358


건강칼럼

홈으로_ 커뮤니티_ 건강칼럼

제목

노화는 어쩔 수 없다?... '골다공증', 골절 후 치료 시작하면 늦다

image

진료실에서 중장년층 환자들을 보다 보면 자주 듣는 말 중 하나가 "골다공증은 그냥 나이 들면 생기는 거 아닌가요?"입니다. 실제로 골다공증은 고령 인구에서 흔하게 발견되는 질환이며, 특별한 증상이 없기 때문에 그 위험성을 인지하지 못한 채 지나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골다공증은 '그냥 뼈가 약해지는 현상'이 아닌, 적절한 시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골절로 이어질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질환입니다. 한 번의 골절이 일상생활은 물론, 생명에도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적극적인 예방과 관리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뼈 만드는 속도 < 흡수 속도 … 폐경 후 여성 특히 위험

골다공증은 말 그대로 뼈가 다공성(구멍이 많아진 상태)이 되는 질환입니다. 뼈는 단순히 우리 몸을 지탱하는 구조물이 아니라, 끊임없이 생성과 흡수가 반복되는 '살아있는 조직'입니다. 나이가 들면서 뼈를 만드는 속도보다 흡수되는 속도가 빨라지면 뼈가 점점 약해지고, 골밀도가 낮아지는 골다공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특히 폐경 이후 여성은 여성호르몬(에스트로겐) 감소로 인해 뼈 흡수 속도가 급격히 빨라지며, 남성보다 더 높은 위험군에 속하게 됩니다. 이 외에도 체중 감소, 칼슘•비타민d 섭취 부족, 운동 부족, 흡연, 스테로이드 장기 복용 등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초기 증상 거의 없어… 가벼운 낙상에도 척추·고관절 골절로
골다공증의 가장 큰 문제는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다는 것입니다. 그러다 어느 날 단순히 가벼운 충격에 넘어졌을 뿐인데, 척추, 손목, 고관절 등이 골절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척추압박골절은 겉으로 보이는 외상이 없더라도 갑작스러운 허리 통증이나 키 감소로 나타날 수 있으며, 방치하면 만성 통증과 자세 변형, 호흡 기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고관절(엉덩이뼈) 골절은 고령자에게는 매우 치명적입니다. 수술이 필요한 경우가 많고, 수술 후에도 오랜 재활을 요하며, 심하면 장기 입원, 와상 생활, 사망률 증가와 직결됩니다. 단순한 뼈 문제로 끝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골다공증은 조기진단이 필수인 질환입니다.

골밀도 -2.5 이하일 때 진단… "약물·운동 병행해 관리해야"
골다공증은 dexa(이중에너지 x선 흡수계측법)를 이용한 골밀도 검사로 진단합니다. 이 검사는 통증 없이 수분 내로 끝나며, 요추와 대퇴골 부위의 뼈 밀도를 측정하여 골다공증 여부를 평가합니다. 세계보건기구(who) 기준에 따르면, 골밀도 수치가 정상 대비 -2.5 이하로 떨어졌을 때 골다공증으로 진단됩니다. 여성은 폐경 이후, 남성은 70세 이후, 또는 골절 이력이 있는 경우, 스테로이드를 장기 복용하는 경우에는 보다 이른 시점에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치료는 약물과 비약물적 접근이 병행됩니다. 비스포스포네이트제제,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serm), 데노수맙, 부갑상선호르몬 유사제 등이 대표적인 치료제로 사용되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선택됩니다. 약물 복용과 함께 충분한 칼슘•비타민d 섭취, 규칙적인 체중부하 운동, 금연 및 절주가 병행되어야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조용한 도둑' 골다공증, "골절 후 치료 시작하면 이미 늦어"
골다공증은 흔히 '조용한 도둑'이라고 불립니다.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뼈를 갉아먹고, 어느 순간 삶의 질을 급격히 떨어뜨리는 골절로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많은 환자들이 골절을 경험한 이후에서야 골다공증 진단을 받고 치료를 시작하지만, 이때는 이미 뼈의 손상이 진행된 이후입니다. 따라서 골다공증은 예방적 차원에서 접근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입니다. 특히 폐경기 여성, 고령자, 골절 이력이 있는 분들은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골밀도 감소를 조기에 파악하고, 뼈 건강을 지키는 습관을 생활화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뼈 건강은 선택 아닌 필수… 정기 검진으로 예방
골다공증은 단지 뼈가 약해지는 문제로 끝나지 않습니다. 진단을 놓치면 작은 사고가 장기 입원, 독립성 상실, 생명 위협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 무서운 질환입니다. 지금 특별한 증상이 없더라도, 건강검진에서 골밀도 검사를 포함시키고, 생활 속 뼈 건강 습관을 실천하는 것이 골다공증을 예방하는 첫걸음입니다. 정확한 진단과 꾸준한 관리가 골다공증 예방과 골절 방지의 핵심입니다. 뼈 건강은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지금 바로 시작해야 합니다.



     
이전사진보기
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
다음사진보기